-
내 데스크탑(windows) 외부에서 원격 접속 가능한 서버로 만들기 ( open ssh 설정, 포트포워딩 설정, 공유기 설정, 원격 접속 방화벽 )환경설정 2022. 9. 23. 01:08
1. 내 ip 확인
우선 외부에서 보이는 내 ip를 확인합니다.
1-1. Naver에 내 ip 확인 검색하면 쉽게 확인가능합니다.
1-2. 혹시 불안하시면 공유기 설정 화면에서도 확인가능합니다.
(u+ 기준 공유기 설정 주소는 인터넷 창 주소에 "http://192.168.219.1/web/intro.html" 를 입력하면 됩니다)
2. 서버가 될 windows 컴퓨터에 open-ssh 설정
windows "앱 및 기능" > "선택적 기능" 선택
"open-ssh server" 설치 확인
관리자 권한 powershell 실행
$ Start-Service sshd
$ Set-Service -Name sshd -StartupType 'Automatic'
위 두 명령어 실행
$ netstat -an | findstr "22"
위 명령어로 22 port listen 중인지 확인
3. 공유기 port forwarding 설정
u+ 공유기 기준으로 설명했습니다. 다른 공유기도 비슷할 것 입니다.
3-1. 공유기 설정에 접속하기 위해 "http://192.168.219.1/web/intro.html" 를 입력
3-2. 비밀번호 입력하고 접속
3-3. NAT설정 > 포트포워딩 설정 찾기
3-4. 포트포워딩 설정해주기
IP 주소는 "내부 ip"주소를 입력하면 됩니다. 내부 ip 주소는 powershell을 켜고 ipconfig를 치시면 알 수 있습니다.
서비스포트는 외부에서 접속할 때 넣어줄 포트를 넣고, 내부 포트는 내부 ip와 연결하게될 때 사용할 포트를 넣으면 됩니다.
4. 방화벽 확인
윈도우에서 방화벽설정을 키고 > 고급설정을 누르면 왼쪽과 같이 인바운드규칙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.
저기서 인바운드 규칙 설정에 들어가 port를 열어주면 됩니다.
5. 보안 프로그램 확인(ahnlab 등)
보통 3까지 하면 외부에서 ssh로 접속이되지만 안되는 경우에는 windows 컴퓨터에 ahnlab 과 같은 보안프로그램에서 차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. 이런 설정을 모두 꺼줍니다.
6. 외부에서 접속 확인
집에서 공유기로 잡은 wifi에 연결하고 접속 확인을 하면 내부 연결로 접속이 될 수 있으니 핫스팟을 이용해 아예 외부 네트워크로 확인하는게 안전합니다.